
미생물학 3장 (1) - 진핵세포의 구조
2020. 4. 1. 17:10
🧬 Bio/미생물학
세포골격 3가지 미세소관 ( 20nm) : 튜블린단백질 #방추사 형성 중간섬유 ( 10nm) : 케라틴 #세포소기관 제자리에 고정 ex)핵라미나 미세섬유 ( 5nm ): 액틴단백질 #원형질 유동 골지체는 딕티오솜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납작한 시스테나 층 ) 단백질은 소포체에서 먼저 합성되고 골지체에서 포장된다. 유비퀴틴 : unfolding 된 단백질을 분해하는 프로테아솜에게 신호를 주는 표지자 26S 프로테아솜 : unfolding 단백질을 분해한다. 유비퀴틴은 재생산된다. 우즈 폭스 분류체계 : 3영역 분류 세균 : 원핵미생물 고세균 : 원핵미생물 진핵생물 : 원생생물, 진균, 식물, 동물 3장에서 다룰 내용은 진핵세포이다. 미생물에는 원핵미생물일 수도 있고 진핵미생물일 수도 있다. 큰 그림 머리..

유전공학 4장 - Manipulation of purified DNA
2020. 3. 30. 10:51
🧬 Bio/유전공학
Klenow fragment Taq DNA polymerase Reverse transcriptase 이때의 주형은 RNA이다. 이중나선에서 DNA의 방향성을 기억해야한다. 5' 3' 3' 5' 많은 효소들이 ligase가 붙일 때 효율이 좋다 sticky end가. 점착성 말단 단일가닥 돌출부위가 나오게 잘라진 = sticky end 제한효소를 자르고 나서 원하는 부분을 골라야 한다. 제한효소로 DNA를 잘랐을 때 여러가지 조각이 나온다. 여러가지 조각이 섞여 있을 때 특정 조각을 분리해내는 방법 : 전기영동 DNA는 pH 7 정도에서 인산기에서 H+가 해리가 되기 때문 DNA는 -극의 반발력과 +극의 인력 때문에 +극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DNA의 전하량을 보면 염기하나 늘어날 때 마다 음전하가 늘..

유전공학 4장 - Electrophoresis
2020. 3. 26. 12:26
🧬 Bio/유전공학
전기영동 DNA 이동을 본다 (-) → (+) EtBr 을 넣고 UV로 오렌지색 확인 Agarose gel Polyacrylamide gel 큰 DNA : 0.1 ~ 30 kb 작은 DNA : 1 ~ 300bp 큰 차이를 볼 때 : 작은 Agarose 농도 작은 차이를 볼 때 : 큰 Agarose 농도 이동 거리는 log(분자량) 에 반비례 분자량이 큰 DNA는 이동속도가 느려 분리하기 어렵다. gel의 %를 낮춘다. 분자량이 작은 DNA는 이동속도가 너무 빠르게 이동한다. gel의 %를 높인다. DNA가 잘 잘렸는지. 내가 원하는 DNA조각이 있는지 확인할 때 전기영동을 한다. 생물에서의 모든 전기영동은 (-)극에서 (+)극으로 이동시키면서 어떤 밴드가 어떻게 분리되는지 본다. (a) DNA를 넣고 전..

유전공학 4장 - DNA manipulation
2020. 3. 26. 11:53
🧬 Bio/유전공학
★★★★★★★ DNA manipualtive Enzyme 종류 Nuclease(뉴클레이스) : 핵산을 절단하거나 짧게 하는 핵산의 분해효소 Ligase(라이게이스) : 핵산과 핵산을 연결해주는 효소 Polymerase(폴리머레이스) : 핵산 분자를 만드는 효소 DNA를 만드는 효소 : DNA Polymerase ,RNA Polymerase Modifying enzyme : 화학기능기를 첨가하거나 제거하는 효소 ex) 인산화 효소, 탈인산화효소(Phosphatase) Topoisomerase(토포아이소머레이스) : 핵산의 구조를 바꾸는 효소, coverlently closed circular DNA를 supercoil로 만드는 효소 Nuclease back bond = Phosphodiester bond를..

미생물학 2장 (2) - 세균의 세포벽, 외피, 리보솜, 편모
2020. 3. 25. 17:38
🧬 Bio/미생물학
테이코산 [그람양성] 그람 양성균에만 존재한다 세포벽을 견고하게 한다. 외피의 음성화(-)는 숙주세표면에 잘 결합하게 해준다. 지질다당체 [그람음성 외막] 항원 역할하는 O항원 존재 구조 : 지질A - 중심다당체 - O항원 포린단백질 [그람음성 세포벽] 외막의 투과성을 높여준다. 단당류의 출입을 도와준다. 페니실린 : 새로 만들어지는 세포벽의 합성을 억제시킨다. 페니실린 처리 : 그람양성 -> 프로토플라스트 페니실린 처리 : 그람음성 -> 스페로플라스트 라이소자임 : NAM-NAG 자른다. 세포벽 자른다. 외피 : 협막, 점막 존재 협막은 조직화 : 세균의 부착 **** 점막은 비조직화 : 세균의 이동 Glycocalyx는 협막과 점막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 세포골격 FtsZ (미세소관) : 격벽을 형성한..

유전공학 3장 (2)
2020. 3. 23. 11:19
🧬 Bio/유전공학
3.1.6 세균 이외의 생물체로부터의 total cell DNA의 분리 실험 목적상 세균 이외의 생물체로부터 total cell DNA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물론 세균에서의 경우와 동일하지 않으며,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세포 파괴 단계에서 차이점 식물 세포 : lysozyme이 효과가 없기 때문에 물리적 방법(냉동시킨 시료를 갈아서 부수는 등)을 사용하거나, cellulase[셀룰로스(식물 세포벽의 구성성분)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세포벽 파괴 동물 세포 :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detergent 처리만으로 쉽게 용해시킬 수 있음. 2) 세포 추출물 내용물의 차이 세균 : 주로 단백질, DNA, RNA 식물 : 단백질, DNA, RNA 외에 다량의 탄수화물(광합성의 결과) 존재 구조가 다르기 때문..

미생물학 2장 (1) - 세균의 세포구조
2020. 3. 19. 22:13
🧬 Bio/미생물학
요약 1 나노미터 = 10 옹스트롬 1 옹스트롬 = 0.1 나노미터 원형질막 (100 옹스트롬) 인지질 : 양친매성 호파노이드 : 세균의 스테로이드 : 막안정성 유지 세균의 호흡이 원형질막에서 일어난다. 핌브리아 : binding에 중용한 역할 pili : DNA,염색체 주고 받음 촉진확산 : 에너지가 필요없는 수송 통로단백질 (포화X) 운반단백질 (포화O) 수동확산 : 막을 통해 이동 1차 능동수송 기질단백질에 용질이 결합 ATP 가수분해 ABC transporter를 통해 이동한다 ABC 수송체에 한 분자가 통과하려면? ATP 2분자 필요 2차 능동수송 두가지 물질이 동시에 수송된다. 공동수송체(같은 방향) & 역수송체(다른 방향) 작용기 전달 물질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면서 화학적 변형이 일어나는것 ..

미생물학 1장 - 미생물의 진화와 분류
2020. 3. 19. 21:32
🧬 Bio/미생물학
바이러스는 가장 진화된 모습이다. 그러나 얘내들은 다 비세포성이다. 세포성으로 가면 진균 원생생물은 진핵이고, 세균 고세균은 원핵이다. 우리는 얘내 4개를 다룬다. 우리가 최초로 분류를 한다? 그러면 진핵이냐 원핵이냐 나눌 수 있다. 그것을 주안점을 보면 유막이냐 무막이냐 이다. Prokaryote(원핵) or Eukaryote(진핵) 휘태커 분류체계 정도는 외워둬라. 5계 이다. 휘태커 5계 분류체계 (five kingdom) ★★★★★★★ five kindom = 5계 분류체계 모네라 (원핵세포) 원생생물 진균 동물 식물 우리가 배울 원핵생물은 모네라이고 진핵은 원생생물이다. Woese의 3영역(three domain) 분류 체계 3영역 분류체계를 보아라 이렇게 계통수 확립을 할 수 있도록 크게 3영..

유전공학 3장 (1) - 세포로부터 DNA 분리, 정제
2020. 3. 19. 11:37
🧬 Bio/유전공학
DNA 분리 3가지 Total Cell DNA 플라스미드 DNA 파지 DNA Total Cell Cell harverst : OD 값 측정으로 증식정도 확인, 2~3 x 10^9 cells/ml Cell lysis Lysozyme : 세포벽의 펩티도 글리칸 절단 EDTA : Mg2+ 제거 #세포벽 불안정화 #DNA 분해효소 억제 SDS : 세포막의 lipid제거 DNA purification phenol extraction : 페놀은 단백질을 뭉치게 해서 하층에 가라앉게 한다. 상층의 DNA, RNA를 분리한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 : DNA는 (-)를 띄어서 (+)차지를 띄는 비드를 넣고 모아서 salt를 넣으면 DNA가 분리된다. Guanidinium thiocynate Silica bid Ehtano..

유전공학 2장 - Vehicles for gene cloning
2020. 3. 16. 13:07
🧬 Bio/유전공학
★★★★★★★ Cloning Vector 조건 복제가 가능해야한다. Selection marker를 가져야 한다. 10kb 이하여야 한다. 박테리아에 넣게 플라스미드 selection marker 지닌다 : Antibiotic resistance replication origin이 있다. Copy number를 조절할 수 있다. conjuction을 통해 전달이 가능하다.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복제 방법 Non-integrative plasmid : 숙주의 DNA polymerase 사용 Integrative plasmid (Episome) : 숙주의 염색체에 삽입돼서 복제된다. Conjugation : 가까이 연접해서 recombinant DNA가 복제되는 것 전달될 수 있는 유전자를 transfer ..

유전공학 1주 1회
2020. 3. 16. 11:36
🧬 Bio/유전공학
1866년에 멘델이 멘델의 법칙을 발표한다. 그래서 유전자는 유전 특성을 조절하는 인자라는 개념을 도입함 40년 동안 맨델의 유전에 대해 관심이 없다가 다시 1900년도에 멘델의 유전법칙에 관심을 갖게 된다. 멘덴의 유전법칙의 재발견 실제 유전학이라는 개념을 갖게된다. 유전학이란 것은 유전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학문이다. 유전공학의 역사는 유전학으로부터 시작되고 유전공학이 어떻게 발달되는지 봐보자. 멘델의 재발견이 있는 다음부터 약 30년동안 서튼이라는 사람이 염색체 설이라는 것을 내놓는다. 유전자가 염색체에 의해 전달 된다. 모건이 염색체가 유전이라는 것에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내면서 노벨상 탄다. 유전자 지도를 작성함 모건은 초파리 갖고 실험한다. 유전적 거리 = 모건 unit 300~..

Plasmid DNA란?
2020. 3. 9. 21:22
🧬 Bio/생명공학
목차 Plasmid DNA란? Vector DNA로써 Plasmid DNA의 구조적 특징 기능에 따른 Plasmid 분류 Plasmid DNA의 conformation(형태) Plasmid DNA란? 원핵생물과 일부 진핵생물이 자신의 염색체 DNA(위 그림에는 Bacterial DNA로 표시된 것) 외에 가지고 있는 작은 고리형 DNA를 말한다. 예를 들면, 대장균은 대장균 자신의 염색체 DNA(chromosomal DNA)가 있고, 크기가 더 작은 고리 모양의 또다른 DNA(circular DNA)가 있는 경우가 있다. 재밌는 건, 대장균과 같은 원핵생물의 경우 염색체 DNA도 플라스미드처럼 고리 모양이라는 것이다. 다만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세포내에서 꼬여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윗 그림에도, Bac..
Gene Cloning
2020. 3. 9. 17:10
🧬 Bio/생명공학
Vector(벡터) 벡터란 플라스미드나 박테리오파지와 같은 DNA로서 세포 형질전환을 통해 특정 유전자나 DNA를 자신에게 삽입시켜 재조합 DNA를 만든 후 이것을 숙주세포로 전달하여 많은 수로 복제 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단백질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DNA운반체를 말한다. Vector의 조건 사본(copy)수가 많아야한다. 간단히 분리 및 정제가 가능해야 한다. 불필요한 유전정보를 최소화하여 작은 DNA로부터 외부 유전자 DNA를 클로닝 할 수 있어야한다. 복제 원점을 가지고, 숙주세포에서 독립적인 복제가 가능해야 한다. 제한효소 자리 집단(Multiple Clonning Site, MCS)이 있어야 한다. 선발 표지자(selection marker)가 있어야 한다. Clonning Vector..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2020. 3. 9. 16:51
🧬 Bio/생명공학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반응)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캐리 멀리스(Kary B. Mullis)에 의하여 1985년에 개발되어 현재 유전물질을 조작하여 실험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사용하고 있는 검사법으로, 검출을 원하는 특정 표적 유전물질을 증폭하는 방법입니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 의해, 소량의 유전물질로부터 염기 순서가 동일한 유전물질을 많은 양으로 증폭할 수 있으므로, 인간의 DNA를 증폭하여 여러 종류의 유전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의 DNA에 적용하여 감염성 질환의 진단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의 순서는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열을 이용하여..

유전자가위 원리와 개발과정- 크리스퍼(CRISPR-Cas9, Cpf1)
2020. 2. 28. 17:55
🧬 Bio/생명공학
유전자가위(Genetic Scissors) 또는 분자가위(molecular scissors)란 생체의 특정 부위에 인공효소를 집어넣으면 세포 속 유전자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원하는 대로 자르고 편집하는 기술을 일컫는 말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옷이 찢어졌을 때 찢어진 부분만 도려내고 새로운 천으로 바꿔치기 하는 "유전자 짜깁기" 기술로 인간이나 동식물 세포의 유전체를 교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유전자가위의 필요성과 탄생 배경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약물치료와 외과적 수술이 있다. 그러나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유전질환의 경우 약물과 수술은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없다. 이런 유전질환을 원천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유전자치료(gene therapy)라고 한다. 1990년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