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중 영양 생장 : 포도당을 먼저 쓰고, 젖당을 쓴다.
- 이화물 오페론
- CAP를 활성화 시키려면 cAMP가 필요하다.
- 포도당이 많다 >> ATP 많다, cAMP 적다 >> CAP 비활성화 >> 젖당오페론 비활성화
- 포도당이 적다 >> ATP 소모, cAMP 많다 >> CAP 활성화 >> 젖당오페론 활성화
- 젖당 오페론 기작
- (포도당 X, 젖당 X)
- 조절유전자에서 억제자가 만들어진다.
- 그 억제자가 작동유전자에 붙는다.
- 포도당이 없으면 ATP도 없어지고, cAMP가 많아진다
- cAMP는 CAP 단백질을 활성화시킨다.
- 그러나 억제자가 전사를 불활성화 시켜서 젖당 분해효소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 (포도당 O, 젖당 X) : 가장 젖당 분해 효소가 안 만들어질 때
- 조절유전자에서 억제자가 만들어진다.
- 그 억제자가 작동유전자에 붙으면서 전사가 불활성된다.
-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 (포도당 X, 젖당 O) : 가장 젖당 분해 효소가 잘 만들어질 때
- 조절유전자에서 나온 억제자가 만들어진다.
- 그 억제자에 젖당이 붙으면서 작동유전자에 젖당+억제자가 붙지 않는다.
- RNA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붙는 것을 CAP가 도와준다.
- 포도당이 없다면 ATP -> ADP -> cAMP 과정이 일어난다.
- cAMP는 CAP 단백질을 활성화 시킨다.
- RNA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붙으면서 전사가 활성화 된다.
-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진다.
- (포도당 O, 젖당 O)
- 조절유전자에서 나온 억제자가 만들어진다.
- 그 억제자에 젖당이 붙으면서 작동유전자에 젖당+억제자가 붙지 않는다.
- 포도당이 있다면 cAMP -> ADP -> ATP 이 과정이 일어난다.
- cAMP의 농도가 낮아지면서 CAP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 RNA 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붙지 않는다.
-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 포도당을 다 사용하면 3번 메커니즘에 따라서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진다.
이중영양생장
포도당과 젖당이 같이 있을 때
처음에 소비되는 것은 포도당이다.
포도당이 다 소모되면 그 다음 젖당이 소모된다.
기울기는 포도당 소비할 때가 더 급하다.
CAP
★★★★★★★
CAP를 활성화 시키려면 cAMP가 필요하다.
포도당이 많다 >> ATP 많다, cAMP 적다 >> CAP 비활성화 >> 젖당오페론 비활성화
포도당이 적다 >> ATP 소모, cAMP 많다 >> CAP 활성화 >> 젖당오페론 활성화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AC)
AC가 ATP로부터 cAMP를 만든다.
AC는 포도당이 없을 때 활성화가 된다.
Lac 오페론은 이중조절된다. 억제자 & CAP
조 - 프 - 작(operator) - 구
오페론 = 프로모터 + 작동유전자 + 구조유전자 (조절유전자 미포함)
조절유전자 = 억제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 (포도당 X, 젖당 X)
- 조절유전자에서 억제자가 만들어진다.
- 그 억제자가 작동유전자에 붙는다.
- 포도당이 없으면 ATP도 없어지고, cAMP가 많아진다
cAMP는 CAP 단백질을 활성화시킨다. - 그러나 억제자가 전사를 불활성화 시켜서 젖당 분해효소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 (포도당 O, 젖당 X) : 가장 젖당 분해 효소가 안 만들어질 때
- 조절유전자에서 억제자가 만들어진다.
- 그 억제자가 작동유전자에 붙으면서 전사가 불활성된다.
-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 (포도당 X, 젖당 O) : 가장 젖당 분해 효소가 잘 만들어질 때
- 조절유전자에서 나온 억제자가 만들어진다.
- 그 억제자에 젖당이 붙으면서 작동유전자에 젖당+억제자가 붙지 않는다.
- RNA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붙는 것을 CAP가 도와준다.
포도당이 없다면 ATP -> ADP -> cAMP 과정이 일어난다.
cAMP는 CAP 단백질을 활성화 시킨다. - RNA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붙으면서 전사가 활성화 된다.
-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진다.
- (포도당 O, 젖당 O)
- 조절유전자에서 나온 억제자가 만들어진다.
- 그 억제자에 젖당이 붙으면서 작동유전자에 젖당+억제자가 붙지 않는다.
- 포도당이 있다면 cAMP -> ADP -> ATP 이 과정이 일어난다.
cAMP의 농도가 낮아지면서 CAP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 RNA 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붙지 않는다.
-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 포도당을 다 사용하면 3번 메커니즘에 따라서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진다.
'🧬 Bio > 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물학 요약노트 (2) | 2020.06.30 |
---|---|
미생물학 12장 (1) - 젖당오페론, 트립토판오페론, Riboswitch (0) | 2020.06.17 |
미생물학 11장 (2) - 전사 종결, 번역 (0) | 2020.06.12 |
미생물학 11장 (1) - 전사 (0) | 2020.06.11 |
미생물학 9장 (4) - 무기영양생물의 연료공급, 광합성 (0) | 202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