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switch문 (2020/02/07)
2020. 2. 7. 18:08
📌 java/java
switch문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dition; public class Switch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switch(1)"); switch(1){ case 1: System.out.println("one"); case 2: System.out.println("two"); case 3: System.out.println("three"); } System.out.println("switch(2)"); switch(2){ case 1: System.out.println("one"); case 2: System.out.println("two"); case ..

java - if문 (2029/02/05)
2020. 2. 5. 22:25
📌 java/java
지금까지 배운 부품들을 결합해서 작은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예제에서 사용할 부품은 변수, 비교연산자, 조건문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 값을 체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것이다. ID의 값으로 egoing을 입력해보고, 다른 값도 입력해보자.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dition; public class Login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id = args[0]; if(id.equals("egoing")){ System.out.println("right"); } else { System.out.println("wrong"); } } } 위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조금 새..

java - 비교와 Boolean (2020/02/05)
2020. 2. 5. 21:43
📌 java/java
Boolean 불린(Boolean)은 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bool이라고도 부른다. 불린은 정수나 문자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타입인데, 참을 의미하는 true와 거짓을 의미하는 false 두 가지의 값을 가지고 있다. 아래는 비교 연산자들에 대한 설명이다. 비교 연산자 (관계 연산자) 프로그래밍에서 비교란 주어진 값들이 같은지, 다른지, 큰지, 작은지를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는데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true나 false 중의 하나다. true는 비교 결과가 참이라는 의미이고, false는 거짓이라는 뜻이다. 비교연산자 ( == ) 대입연산자 ( = )

t-분포
2020. 2. 5. 21:39
✏️ Mathemathics/Statistics and Probability
t-분포 t-분포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알 수 없을 때 자유도 수로 정의되는 계량형 분포입니다. 예를 들어 t-분포의 용도 중 하나는 모집단의 평균과 가설 평균이 서로 다른지 검정하는 것입니다. 회귀 계수의 유의성 검정에도 t-분포를 사용합니다. t-분포는 자유도 수에 의해 지정되는 계량형 분포입니다. 정규 분포와 비슷하지만 꼬리 부분이 더 두꺼운 종 모양의 대칭적인 분포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 그래프는 자유도가 다른 t-분포들을 보여줍니다. 실선으로 표시된 t-분포의 자유도는 1입니다. 파선으로 표시된 t-분포의 자유도는 100입니다. t-test는 어떻게 하는가? T-test를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크게 3 가지로 아래와 같다. 괄호에 넣은 건 무슨 말인지 몰라도 된다. 표본이 ..

상관계수
2020. 2. 5. 17:38
✏️ Mathemathics/Statistics and Probability
상관 계수에 대한 주요 결과 해석 Minitab 18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상관 분석을 해석하려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십시오. 주요 결과에는 Pearson 상관 계수, Spearman 상관 계수 및 p-값이 포함됩니다. 이 항목의 내용 1단계: 변수 사이의 선형 관계 조사(Pearson) 2단계: 상관 계수가 유의한지 여부 확인 3단계: 변수 사이의 단순 관계 조사(Spearman) 1단계: 변수 사이의 선형 관계 조사(Pearson) 두 계량형 변수 사이의 선형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조사하려면 Pearson 상관 계수를 사용합니다. 강도 상관 계수 값의 범위는 −1부터 +1까지입니다. 계수의 절대값이 클수록 변수 사이에 강한 관계가 있습니다. Pearson 상관의 경우 절대값 1은 완전한 선형 관계를..

java - 이클립스 사용법
2020. 2. 1. 00:23
📌 java/java
패키지는 디렉토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eclipse에서 save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나? .java. 를 이용해서 컴파일을 해주고 있다.

백준알고리즘 11720번
2020. 1. 28. 20:57
🕶 Algorithm

백준알고리즘 11654번
2020. 1. 28. 20:56
🕶 Algorithm
Scanner 클래스
2020. 1. 28. 20:53
📌 java/java
Scanner 클래스만 잘 이용해도 다양한 입출력 형태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 주석은 컴파일 단계에서 제거되므로 최대한 많이 작성해봐라 문자열을 입력받고 싶을 때 next()함수와 nextline()을 적절히 잘 사용해 봐라 정수를 입력 받는 nextint() 문자열을 입력 받는 next()
환영합니다!
2020. 1. 27. 22:49
카테고리 없음
#1 글을 작성해 보세요. 선채소님의 회원 가입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이 글은 비공개로 작성돼 있습니다. '편집'으로 내용을 바꾸시거나, 삭제 후 '새 글을 작성'하셔도 됩니다. 블로그를 간단하게 소개하는 글로 편집해보는 것도 좋겠네요. #2 다양한 스킨이 있어요. 티스토리에 있는 다양한 '스킨'도 살펴 보세요. 블로그나 사이트를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스킨을 고를 수 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주로 하실 건가요? 잘 생각해 보시고, 마음에 드는 스킨을 고르세요. '스킨 커버 편집'을 간단히 하면 멋진 첫 화면을 가질 수 있으니 한 번 해보는 것도 좋겠네요 #3 포럼에서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마지막으로 사용하시다가 티스토리에 대해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포럼'을 확인하세요. 찾기 어려울 땐 직접 질문을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