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han Seon 2021. 1. 21. 20:30

Highlights

  • Dead Sea Scrolls fragments made of animal skins are classified based on ancient DNA
  • Disambiguating the debated relationship between fragments reveals new insights
  • Paleogenomics finds that some scriptural scrolls were brought from outside Qumran
  • Qumran and Masada scrolls represent the broad cultural matrix of Greco-Roman Judea

Summary

The discovery of the 2,000-year-old Dead Sea Scrolls had an incomparable impact o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Judaism and Christianity. “Piecing together” scroll fragments is like solving jigsaw puzzles with an unknown number of missing parts. We used the fact that most scrolls are made from animal skins to “fingerprint” pieces based on DNA sequences. Genetic sorting of the scrolls illuminates their textual relationship and historical significance. Disambiguating the contested relationship between Jeremiah fragments supplies evidence that some scrolls were brought to the Qumran caves from elsewhere; significantly, they demonstrate that divergent versions of Jeremiah circulated in parallel throughout Israel (ancient Judea). Similarly, patterns discovered in non-biblical scrolls, particularly the Songs of the Sabbath Sacrifice, suggest that the Qumran scrolls represent the broader cultural milieu of the period. Finally, genetic analysis divorces debated fragments from the Qumran scrolls. Our study demonstrates that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enrich the scholar’s toolkit.

Graphical Abstract

 

Keywords

Introduction

The Dead Sea Scrolls (DSS) are a corpus of over 25,000 fragments comprising the remains of about 1,000 ancient manuscripts found in various sites in the Judean Desert mostly between 1947 and the 1960s (Figure 1A) (

Collins, 2012, 

Davies et al., 2002). The largest collection comes from 11 caves in the vicinity of Qumran, along the northwest shore of the Dead Sea. Additional scrolls were found in Masada, Naḥal Ḥever, Naḥal Ṣe’elim, Wadi Murabba’at, and a few other sites (Figure 1A). The Qumran fragments are dated to the Hellenistic-Roman period (or late Second Temple times), i.e., third century BCE to first century CE.

Figure 1DSS Fragments Were Found in Different Locations in Different Sizes and Shapes

Show full cap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any DSS manuscript could drastically change with the addition, removal, or reordering of fragments assigned to it (e.g., 

Ratzon and Ben-Dov, 2017, 

Yuditsky, 2017). Thus, much collective work has been invested in sorting out the fragments based primarily on visual resemblance and paleographic analysis of their scribal hands. However, the fragmentary nature and variable state of preservation of the various fragments sometimes result in uncertain identification, joining, and reconstruction of numerous pieces (see example in Figure 1B).

Another set of challenges posed by the DSS is their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ualization. Many scholars agree that some of the texts found in the Qumran caves reflect the ideology and social structure of a sectarian movement of Jews, a group of whom resided in Qumran during the late Second Temple period (e.g., 

Collins, 2010, 

Ullmann-Margalit, 2006). However, it is similarly clear that not all Qumran scrolls were written or copied by sectarian scribes (e.g., 

Dimant, 2014). Distinguishing between “sectarian” and “non-sectarian” texts or between manuscripts potentially copied “locally” or brought from elsewhere has far-reaching implications for proper understanding of the findings. Were the literary works and ideologies reflected in the scrolls confined to a small and secluded group? Or, alternatively, were these ideas influential on a broader scale, throughout the land? Importantly, the late Second Temple period was the formative era in the history of classical Judaism and nascent Christianity (

Brooke, 2005, 

VanderKam and Flint, 2005). Thus, classification and sub-grouping of texts found in the Qumran caves sheds light on a whole range of historical developments.

In particular, the scriptural scrolls found in the Qumran caves are the oldest known copies of books of the Hebrew Bible and thus offer unprecedented insight into the very process of their formation, early dissemination, and reception. For modern biblical criticism, in contrast to traditional religious tenets, the Hebrew Bible represents the cumulative output of many generations of scribes who authored, transmitted, and, at the same time, constantly revised and interpreted the various texts. The conflicting views can ideally be decided on the basis of empirical evidence, such as manuscripts of biblical books that reflect different stages in their literary history, thereby proving that such works were formed gradually and incrementally rather than by a one-time revelation. Although the DSS contribute greatly to the unveiling of the textual history of many biblical books (

Tov, 2012), perhaps the most striking opportunity for testing this question is furnished by the book of Jeremiah, which is extant in different versions corresponding to the long Masoretic text (the Jewish received version) and the short Septuagint (an ancient translation into Greek, eventually adopted by Christians).

The Qumran scrolls also include copies of numerous non-scriptural works. Some of them were previously known through other channels of transmission (the Apocrypha and Pseudepigraph of the Old Testament), whereas others became known for the first time in two millennia thanks to the discovery of the DSS. These works, too, present a whole host of historical riddles. In particular, we have focused on the Songs of the Sabbath Sacrifice, a liturgical composition found in multiple copies, indicating its importance in ancient times. This composition is also unique in being the only previously unknown, non-scriptural work whose copies were found outside of Qumran; in addition to eight copies from Qumran Cave 4 and one from Cave 11, there is also a tenth copy found in Masada. The Songs of the Sabbath Sacrifice (Songs) is a highly intriguing literary piece whose (quasi)mystical content and radical poetic style foreshadow revolutionary developments in Hebrew creativity that fully materialized only many centuries later (

Abusch, 2003, 

Alexander, 2010, 

Mizrahi, 2013, 

Schäfer, 2006), but its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is still much of a mystery. The socio-religious background of the Songs is much contested in scholarship, and the discovery of the Masada copy complicated the debate even further (e.g., 

Newsom, 1990). Did the Qumran sectarians reach Masada? Or was the work popular among circles that transcend the community that forms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texts deposited in the Qumran caves?

Finally, most DSS fragments were not excavated orderly in situbut rather acquired post factum via antiquity dealers. As a result, the original place of finding of some fragments remains unknown or uncertain, thus affecting their historical comprehension. For instance, most of the Qumran scrolls are literary in nature, but a subset of fragments allegedly found in Cave 4 differs markedly in being legal documents, the like of which were found in other sites throughout the Judean Desert. Is there a scientific method for establishing the original whereabouts of such fragments?

Here we show that a paleogenomic approach can shed new light on a range of issues pertaining to DSS history, including the compositional history of the biblical book of Jeremiah, the dissemination of the Songs, and the provenience of the scrolls at large. Because most of the scrolls were written on processed animal skin, we used DNA sequencing to “fingerprint” (or “genotype”) fragments based on their genetic signature. The genetic evidence suggests that the manuscripts found in the Qumran caves reflect the scribal and textual diversity that prevailed in this period with regard to transmission of scriptural and non-scriptural literature.

Results

The original place of finding of some fragments remains unknown or uncertain, including their relationship to the site of Qumran. Moreover, the DSS have disintegrated into thousands of fragments whose mutual relationship is often ambiguous or even contested. Thus, scholarship faces two fundamental questions. Which fragment belongs to which scroll? What are the origins of the various scrolls?

To advance the classification of the scrolls and scroll fragments, we sampled and analyzed tiny fragments from scrolls discovered at various sites (Table S1). The selection of fragments was constrained by several factors.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the DSS are now carefully preserved by the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IAA), and their physical condition, often extremely fragile, is extensively monitored. Therefore, to minimize damage to these priceless fragments, the IAA conservators performed sampling with extreme caution, considering which fragments could be sampled at all. Tiny amounts of scroll materials were obtained from scroll pieces or, when more sensitive fragments were concerned, from crumbs that fell off or were scraped off the uninscribed back side of the fragments (STAR Methods; Figure 2A). To investigate features typical to scrolls unearthed in different locations, we also examined other leather objects, such as remains of sandals, waterskins, and a garment, that were discovered at various sites. In addition to sampling ancient specimens, we were allowed access to modern parchments prepared for the IAA. These parchments, used as controls, were produced by a professional scribe and treated according to traditional practices for IAA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research purposes (Figure 2B).

Figure 2Illustration of Various Samples Used in This Study, Including Miniscule Amounts of Material Used for Sequencing of the DSS, IAA Parchments, and Waterskins

 

 

 

DSS 원고의 내용에 대한 이해는 할당된 파편의 추가, 제거 또는 재주문(예: Ratzon and Ben-Dov, 2017, Yuditsky, 2017)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집단적 작업이 주로 시각적 유사성과 낙서 손의 고생물 분석에 기초하여 조각들을 분류하는 데 투자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조각의 단편적 특성과 가변적인 보존 상태는 때때로 불확실한 식별, 결합 및 수많은 조각의 재구성을 초래한다(그림 1B의 예 참조).

 

DSS가 제기하는 또 다른 도전과제는 그들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화이다. 많은 학자들은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일부 문헌이 제2신전 말기에 쿰란에 거주했던 유대인들의 종파운동의 이념과 사회구조를 반영한다는 데 동의한다(예: 콜린스, 2010, 울만-마르갈리트, 2006). 그러나, 모든 Qumran 두루마리들이 종파 서가에 의해 쓰여지거나 복사되지는 않았음이 유사하게 명백하다(예: Dimant, 2014). "종교적"과 "비종교적"의 원고를 구별하거나 잠재적으로 "지역적"으로 복사하거나 다른 곳에서 가져온 원고를 구별하는 것은 연구 결과를 적절히 이해하는 데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두루마리에 비친 문학 작품과 이데올로기는 작고 외딴 집단으로 한정되어 있었을까? 아니면, 아니면, 이 아이디어들이 더 넓은 범위에서 영향을 미쳤을까요? 중요한 것은, 후기 제2신전 시대는 고전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의 역사에서 형성 시대였다. 따라서,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텍스트의 분류와 하위 그룹화는 모든 역사적 발전의 범위를 밝혀준다.


특히,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경전 두루마리는 히브리 성경의 책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형성 과정, 초기 보급 및 수용 과정에 대한 전례 없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현대 성서 비평의 경우, 전통적인 종교적 신조와는 대조적으로, 히브리 성경은 다양한 문헌을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해석한 많은 세대의 서예가들의 누적된 산출물을 나타낸다. 상반된 견해는 문학사에서 각기 다른 단계를 반영하는 성경책 원고 등 경험적 증거에 따라 이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어 그러한 작품이 일회성 폭로가 아닌 점진적이고 점진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다. DSS가 많은 성경책의 텍스트 역사를 공개하는 데 크게 기여하지만(Tov, 2012), 아마도 이 문제를 시험할 수 있는 가장 놀라운 기회는 긴 마소레어 텍스트(유태인 수신본)와 짧은 셉투아긴트(Septuagint)에 해당하는 다른 버전으로 존재하는 예레미야 책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고대 그리스어로의 번역, 결국 기독교도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쿰란 두루마리에는 수많은 비문헌 작품 사본도 포함되어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이전에 다른 전달 경로(구약성서의 아포크리파와 유사문)를 통해 알려졌지만, 다른 일부는 DSS의 발견으로 2천년 만에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작품들 역시 수많은 역사적 수수께끼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고대에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는 여러 권의 문학적 구성인 '안식일 희생의 노래'에 초점을 맞춰왔다. 이 작문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유일한 비문학적 작품으로서 독특한데, 큐란 동굴 4에서 8부, 동굴 11에서 1부 외에도 마사다에서 10부가 발견되었다. 《안식일 희생의 노래》(The Songs of the Sabth Savest, Songs)는 신비스러운 내용과 급진적인 시적 문체가 히브리 창의성의 혁명적 발전을 암시하는 매우 흥미로운 문학 작품으로, 수세기 후에야 완전히 구체화되었다(아부시, 2003, 2010, 미즈라히, 2013, 슈페르, 2006).수수께끼가 날 때까지 Songs의 사회-종교적 배경은 학계에서 많이 경쟁하고 있으며, 마사다 카피의 발견은 논쟁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예: Newsom, 1990). 쿰란 종파들은 마사다에게 도착했나요? 아니면 큐란 동굴에 퇴적된 글의 사회적 배경을 이루는 공동체를 초월한 서클들 사이에서 이 작품이 인기가 있었을까?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DSS 조각들은 현장에서 질서 있게 발굴되지 않고 오히려 고대 딜러들을 통해 후분석을 획득하였다. 그 결과, 일부 조각의 원래 발견 장소는 알려지지 않았거나 불확실하여 역사적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쿰란 두루마리는 본질적으로 문학적이지만, 4번 동굴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진 조각의 일부는 유대 사막 전역의 다른 유적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법률 문서로서 현저하게 다르다.

 

그러한 조각들의 원래 위치를 규명하는 과학적인 방법이 있는가?
여기서 우리는 고생물학적인 접근법이 성경책인 예레미야의 구성 역사, 노래의 보급, 두루마기의 증명 등 DSS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새로운 빛을 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두루마리들이 가공된 동물 가죽에 쓰여졌기 때문에, 우리는 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유전자 서식을 바탕으로 "지문" (또는 "유전자형") 조각들을 사용했다. 유전적 증거는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필사본들이 이 시기에 성서 및 비성서 문헌의 전달과 관련하여 널리 퍼졌던 서적 및 텍스트 다양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Result

일부 파편의 원래 발견 장소는 쿰란 현장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알려지지 않았거나 불확실하다. 게다가, DSS는 종종 모호하거나 심지어 경쟁하는 상호 관계를 가진 수천 개의 조각들로 분해되었다. 그러므로, 학문은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어느 조각이 어느 두루마리에 속합니까? 다양한 두루마리의 기원은 무엇입니까?


스크롤과 스크롤 조각의 분류를 진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이트에서 발견된 스크롤에서 작은 조각을 샘플링하고 분석하였다(표 S1). 조각의 선정은 몇 가지 요인에 의해 제약을 받았다. 세계 문화 유산으로서, DSS는 현재 이스라엘 고물국 (IAA)에 의해 조심스럽게 보존되고 있으며, 종종 극도로 취약한 그들의 신체 상태는 광범위하게 감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가격 조각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IAA 관리자들은 어떤 조각을 표본으로 추출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매우 신중하게 표본 추출을 수행했다. 스크롤 조각에서 소량의 스크롤 재료를 얻거나, 보다 민감한 조각이 발생할 경우, 조각의 뒷면에서 떨어지거나 벗겨지는 부스러기(STAR Methods; 그림 2A)에서 얻었다. 우리는 다른 지역에서 출토되는 전형적인 족자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 샌들, 물가죽, 의복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된 다른 가죽 물건들도 조사했습니다. 고대 표본을 추출하는 것 외에도, 우리는 IAA를 위해 준비된 현대 양피지에 접근할 수 있었다. 통제로 사용되는 이러한 양피지는 전문가 서기에 의해 제작되었고 IAA 보존 및 보존 연구 목적을 위한 전통적인 관행에 따라 처리되었다(그림 2B).


대부분의 두루마리들이 오래되고 퇴화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PCR을 사용하여 DSS에서 동물 DNA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것이 20년 전에 입증되었다(Kahila Bar-Gal, 2000). 최근 연구(Teasdale et al., 2015)에 따라, 우리는 심층 시퀀싱을 사용하고 286개의 라이브러리(각각 0.013/0.0063의 목표 동물 게놈 평균/중간 범위, STAR 방법, 표 S2, 그림-ure 2A 및 S1A)에서 실행 가능한 수준의 DNA를 얻었으며, 최소 크기 26개의 샘플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DSS에서 고도로 분해된 고대 DNA(aDNA)의 염기서열은 높은 수준의 오염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진다. 내인성 aDNA 외에도 고대부터 그리고 지난 70년 동안 인간이 DSS를 가장 집중적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인류 기원의 풍부한 현대 DNA를 발견하였다. 우리가 감지한 인간 시퀀스는 일반적인 손상 패턴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실제 DNA에 비해 파편 길이가 길었다(Dabney et al., 2013a; Sawyer et al., 2012; Scoglund et al., 2014a). 대조적으로, 충분한 시퀀스 데이터가 주어지면, 동물 DNA에 대한 고대 샘플 매핑의 읽기는 점진적인 쇠퇴를 보여주면서 조각으로 확장되는 조각 종단에서 DNA 조각화와 더 높은 시토신 데미네이션을 보여준다(그림 S1B, S1C, S2C; Ta-ble S3). 분해 패턴은 DNA에서 예상되는 패턴(Dabney et al., 2013a; Sawyer et al., 2012; Scoglund et al., 2014a)에 적합하며, 우리가 DNA 시뮬레이션에서 얻은 패턴과 같다(가그멜 소프트웨어 사용; 그림 S2D; STAR 방법).

 

경전 두루마기의 종 식별에 관한 연구


다양한 종류의 동물의 가죽이 다른 스크롤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되면 종 식별이 관련 조각의 일차적인 정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표본 추출된 고대 재료(스크롤, 샌들, 워터스킨, 의복) 중에서 우리는 가정용 양, 소, 염소 등 세 종의 가죽을 확인했습니다. 시퀀싱된 판독값을 근동에서 흔한 국내 동물 종의 미토콘드리아(mt) 게놈에 매핑한 결과, 확인된 DSS 샘플 2개(4Q70 및 4Q72b)를 제외한 모든 샘플은 양의 피부로 만든 것으로 확인되었다(오비스 미토콘드리아에 매핑할 때 가장 높은 커버리지, 그림 3, 4A–4C, 표 4F; S4). DSS는 발견 장소(예: 4Q = Qumran 동굴 4, 11Q = Qumran 동굴 11, Mass = Masada)를 표시하는 약어와, 재고 번호 또는 내용(예: 4Q70 = 4QJera = 예레미야에서 가져온 스크립트 북의 첫 번째 사본)에 의해 지정된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우리는 BLAST 검색, FastQScreen, 광범위한 분자 계통 유전자 분석(Hassanin et al., 2012), 그리고 결과를 확인한 인간 aDNA에 대한 표준 파이프라인과 같은 여러 독립적인 유효성 검사 절차를 수행했다(자세한 내용은 표 S4 및 STAR 방법 참조). aDNA 시뮬레이션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그림 4D 및 4E; STAR 방법).

 

우리는 처음에 소의 가죽으로 만들어진 양에서 유래하지 않은 2개의 예레미아 표본 4Q70과 4Q72b를 확인했다. 이 조각들은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제레미야의 성경책 4권 중 2권인 4Q70 (4QJera), 4Q71 (4QJerb), 4Q72a (4QJerd), 4Q72b (4QJere)이다. (당시 2Q13[2QJer]와 4Q72[4QJerc]의 두 개의 추가 복사본을 샘플링할 수 없었습니다.) 이 조각들 중 일부는 원래 관계가 불분명하다. 4Q71, 4Q72a 및 4Q72b는 원래 동일한 스크롤에 할당되었지만 나중에 텍스트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Tov, 1989). 농축된 mt 조각(STAR 방법, 표 S5, 그림 S3A)을 시퀀싱하여 4Q70, 4Q72a 및 4Q72b의 동물 기원을 추가로 조사했다. mt농축 분석을 통해 산탄총 시퀀싱에 따른 분석 결과를 확인한 결과 4Q72b는 실제로 보스타우루스(소)로 만들어졌으며, 4Q71과 4Q72a(4Q72b와 같은 스크롤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됨)는 오비사리아(양)에서 기원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루마리는 크기와 가시적 특성(예: 1QIsaa; 아래 참조)과 같은 유사한 물질적 특징을 가진 가죽 시트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리의 작업 가설은 그것들이 보통 한 동물 종으로만 구성된 시트라는 것이다. 실제로, 동일한 스크롤의 다른 시트에서 발행되는 조각에 대한 자체 분석(4Q37 [4QDeutj]; 논의)는 동일한 종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4Q72b는 4Q71 및 4Q72a와 동일한 스크롤에서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후자의 두 가지는 양으로 만들어졌지만, 그 관련성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부츠스트랩 값 40/100) 결론에 이르지 못한다. 우리의 결과는 또한 분명히 다른 원고인 4Q70이 소의 가죽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 표본은 보존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연구하기가 더 어렵다.
유대사막은 적어도 지난 2천년 동안 소가죽 가공에 적합하지 않았고, 쿰란(부치닉, 2016)에서는 소가죽 가공에 대한 증거가 없다. 그러므로, 4Q70과 4Q72b는 아마도 미국의 다른 지역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4Q70이 기원전 3세기 말이나 2세기 초(야데니, 199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에서 확증된다. 더욱이, 4Q70은 중간 구성 단계를 보존하기 때문에 텍스트로 구별된다. 그 원문은 후대의 서가에 의해 수정되었고, 비록 이 서적들 간의 성질에도 불구하고
벤션이 논의되었으며, 가장 두드러진 경우는 원래 독립적인 텍스트를 매소레틱 텍스트에서 알려진 더 긴 버전으로의 텍스트 적응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짧은 텍스트(4Q70, 단편 [frg.] 4i [= 열 III])는 여백의 삽입에 의해 확장되었다. 추가 단락 (예레미야 7:30–8:3)

 

추가 단락 (예레미아 7:30–8:3)은 예언적 훈계를 증폭시키고 더 길고, 더 오래 받은 버전의 일부가 되었다(Davis, 2018). 분명히, DSS가 발견되기 훨씬 전에, 비판적인 학자들은 이 단락이 현재의 맥락과 잘 통합되지 않는다고 주장해왔다(예: Dumm, 1901년, 84쪽).
제레미아 조각들 사이의 유전적 구별은 중요하고 더 넓은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유전자 분석은 책의 다른 버전을 반영하는 단편들을 분리한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토론 게다가, 적어도 두 개의 예레미야 두루마리(4Q70과 4Q72b)가 외부에서 쿠만 동굴로 옮겨져 온 것으로 보아, 예레미야 두루마리의 문자적 다각형성이 유대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학자들이 이전에 그러한 '외부' 원고의 이론적 가능성을 즐겼지만, 우리의 발견은 이 추론에 유리한 독립적인 주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어떤 원고가 지역적으로 복사된 스크롤 대 엘에서 가져온 스크롤로 식별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인지 정확히 집어낼 수 있게 해준다.사방에


양으로 만든 두루마기의 유전적 분화


고대 두루마리 표본의 대부분은 양으로 만들어졌다(그림 4A–4C). 이들을 구별하기 위해 126종의 양 품종의 mt 게놈을 조사하는 계통생성 분석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표본에서 하플로그룹의 다양성을 조사했다(그림 S3B). 오비자리는 5개의 서로 다른 하플로그룹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3개(A, B, C)가 근동 지역을 채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v 등, 2015; 메도우 등, 2007). 우리의 샘플에서 발견된 하플로그룹은 이 세 개뿐이며, 이들의 분포는 개별 스크롤의 입증된 기능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는 4Q404, 4Q405, 4Q405의 비성경 송을 표본으로 추출했다.
11Q17 및 Mas1k(이 중 일부의 경우 둘 이상의 파편을 샘플링할 수 있었다). 마스1k는 마사다에서 큐란 동굴 밖에서 발견된 유일한 작품입니다. 분명히, 하플로그룹 B에 속하는 다른 양 샘플과는 달리, 마스1k는 하플로그룹 A에 속한다(그림 3과 S3B, STAR 방법의 "종 식별을 위한 양 계통 나무의 생성" 하위섹션 참조).

 

 

Discussion

DSS의 발견은 일반적으로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그들의 역사적 중요성의 전체 범위는 당시 더 넓은 사회를 위해 얼마나 대표적이냐에 달려 있다. 유대교와 기독교가 계승한 종교문학의 문화적 역사는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가? DSS에 의해 제공되는 고대 증거의 복잡성은 다양한 연구 전략을 활용하는 통합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유전 정보는 그림의 일부만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처음부터 명시해야 한다. 주어진 두루마리는 같은 개별 동물로 만들 필요가 없는 여러 장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사야의 완전한 보존본인 1QIsaa는 길이가 7.34m이고, 한 동물의 피부로 만들 수 없는 17개의 판으로 만들어졌다. 또한, 가죽의 생산은 게놈 분석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유기 물질의 사용을 포함한다(Campana et al., 2010). 마찬가지로, 우리는 또한 4Q57(4Q57 frg. 27)의 일부로 분류된 조각에서 염소 DNA를 발견하여 양 DNA에서 변형을 자신 있게 식별할 수 없었다. 이 샘플에서 발견된 염소 DNA(양 DNA 외에)는 다양한 유기원의 물질이 스크롤 준비(예: 태닝) 과정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진짜일 수 있다(Campana et al., 2010; Poolle and Reed, 1962).


도전은 4Q37의 두 조각에서 얻은 결과로 예시된다. 이 두루마리는 경전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수학(4QDeutj)의 사본으로 출판되었지만, 일부 조각에는 출애굽기 서적의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텍스트 증거는 두 가지 주요 가능성을 허용한다. 두 조각 그룹 모두 동일한 서기로 작성된 두 개의 서로 다른 두루마리, 즉 각각 출애굽기와 중수소학을 나타내거나, 두 그룹 모두 두 성경책의 구절의 혼동을 나타내는 단일 원고에서 비롯된다. 공식 편집자는 두 번째 옵션을 선호했는데, 4Q37은 발췌된 성경 구절의 모음이라고 가정했다(Duncan, 1991, 1995, 1997). 실제로, 작품의 내용(중수소학 5-6, 8, 11, 32, 엑소더스 12-13)과 그 추정 순서는 (Qumranphylactories의 일부)의 경전 구절(일부 Qumranphylactories)의 문학적 편찬에 의해 일치한다(Tov, 2019). 스크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은 또한 특수 기능(아마도 문학적 기능)을 암시한다(4QDeutn 및 4QDeutq).


우리는 각 조각 그룹에서 표본을 추출했다; frg. 25는 8열(frg. 26)에서 왔고 중수자학 11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반면, frg. 28은 X열(frgs 포함)에서 왔다. 29–33)이며, 12–13의 출애굽기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frgs. 25와 28은 함께 군집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그림 5). 이러한 유전학적 결과는 그 조각들이 같은 종의 서로 다른 개별 동물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그것들이 같은 스크롤에 속한다면, 그것들은 아마도 두 장의 다른 시트로부터 비롯될 것이다. 이 결론은 4Q37의 재료재건을 위한 향후 시도와 그 내용에 대한 문학적 평가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고대 유물에 대한 어떤 연구가든 해결되기 마련인 이론적, 방법론적, 실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는 서로 고립된 상태에서 일하는 문헌학자나 과학자들에 의해 도달할 수 없었던 많은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 우리의 새로운 통찰력 중 일부는 오랫동안 논의된 문제를 더 잘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새로운 조사 영역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비스크립트 스크롤은 QSP(잠재적으로 로컬에서 복사됨)와 비 QSP 원고(아마 다른 곳에서 복사됨)의 서사적 구분에 해당하는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어 컬렉션의 이전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헬레니즘-로마 시대에 유대를 표방한 문화적 다원성을 상징하며, 유대교와 기독교의 궁극적인 발전을 위한 매트릭스 역할을 했다. 게다가, 유전학에 의해 드러난 고대의 다양성은 송의 다양한 사본의 증거에 새로운 빛을 발할 수 있다. 마스원크의 발견은 노래의 사회-종교적 배경에 대한 논쟁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쿰란 (68 CE)이나 예루살렘 (70 CE)이 로마인들에게 함락된 후 종파들이 마사다로 도망쳐 이 요새를 점령한 광신도들과 합류했다는 증거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아니면 쿰란 동굴을 초월한 원들 사이에서 이 작품이 인기를 끌었단 말인가? 오직 Mas1k만이 하플로그룹 A(결과 및 STAR 방법 참조)에 속하는 반면, 이 작품의 Qumran 사본은 하플로그룹 B에 속한다는 사실은 이 작업이 Qumran 동굴 너머에 알려져 있었음을 시사한다.

 

경전 두루마리 역시, 예레미야 파편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곳에서 파생된 필사본들과 매우 다른 버전의 책을 반영하는 필사본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필사본들은 아마도 예레미야의 구성 역사에서 다른 단계들을 증언하고 있을 것이다. 성서학술에 의해 인정된 바와 같이, 제2신전 시대의 텍스트적 증거는 다른 버전의 성서들이 동시에 유통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시대 사람들에게, 성서 책의 거룩함은 정확한 표현으로 확장되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중세 시대에 제작된 히브리 성경의 수천 권의 필사본과 그 후 21세기를 통해 인쇄된 판본은 거의 동일한 텍스트로, 수년에 걸친 텍스트 다양성의 상실을 예시한다. DSS는 텍스트 양면성으로 대표되는 이전 단계로 우리를 데려간다.

 

유추에 의해, 최근 몇 년 동안 DNA 연구의 혁명은, 인구 크기를 줄이는 병목 현상의 결과로, 인류 종의 요람인 아프리카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써 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이 토착 인구에서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와 유사하게, 여기에 제시된 유전적 증거는 텍스트와 유전적 다양성으로 대표되는 제레미아 족자가 쿠만 동굴에서 가져온 두루마리들이 후기 버전의 "아프리카"를 엿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유전적 증거는 두 조각(4Q344와 4Q59 frg.25)이 쿰란 두루마리에서 채취한 다른 모든 샘플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가적인 문헌학적 증거는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두루마리와 실제로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뒷받침한다. 확실히, 이 조각들은 진품이지만 아마도 유대 사막의 다른 동굴에서 발굴되었을 것이다. 다른 고대 표본과 표본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 및 개발된 방법과 같은 DNA 방법을 사용하면 동일한 영역에서 발견되거나 동일한 동물원에서 유래되었거나 DSS와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작성된 원고를 구별할 수 있다.
이 연구는 DSS 단편에서 추출한 DNA의 유전적 분석과 고대 문학 및 종교의 문헌학적 및 역사적 검사를 결합하여 다학제적 관점에서 DSS 연구에 접근했다.
여기에 복사된 작품들 이러한 통합 접근 방식은 많은 추가 스크롤과 다양한 사용 설명서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 우리는 그것이 다른 사람들이 협력하고 그들의 전문지식을 결합하여 과거의 미스터리를 풀도록 격려하기를 바란다.